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Nausicaä of the Valley of the Wind)" 해석 줄거리 및 생태주의

by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 2024. 3. 12.

바람계곡의 나우시카(Nausicaä of the Valley of the Wind)
바람계곡의 나우시카(Nausicaä of the Valley of the Wind)


"바람계곡의 나우시카(Nausica of the Valley of the Wind)"해석

"바람계곡의 나우시카"는 나우시카라는 소녀를 중심으로 우리에게 인류가 자연의 존중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주제의식을 가지고 만들어진 작품입니다.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의 여러 장면들은 해석이 필요할만큼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어서 재미있게 본 작품이었습니다. 이 작품은 일본 애니메이션의 걸작 중 하나로 꼽히며, 디스토피아적인 세계관과 생태주의에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작품입니다. 작품속에서 사람과 자연이 서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상대에게 피해를 주는데 그 중재자로 나우시카가 나서서 본인을 희생하면서 인간이 먼저 행동해야 자연과의 관계를 다시 돌릴 수 있다는 메시지를 줍니다. "나우시카"는 그리스 신화에서 영감을 받은 이름으로, 오디세이아에 등장하는 왕녀의 이름이라고 합니다. 이 왕녀는 고결한 성품과 용감함 그리고 지혜까지 갖춘 인물로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의 성격과 비슷한 걸로 볼때 확실히 영화의 주인공을 설정할 때 확실히 영향을 주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에서 환경보호나 인류와 자연의 조화로움에 대해서 강조한다는 건 여러 장면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첫번째로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에 나오는 자연은 겉으로는 매우 위협적인 모습을 하고 인간의 출입을 막으려고 합니다. 독가스로 가득찬 식물과 시끄럽고 공격성이 짙은 동물들로 가득 채워진 숲은 사람들을 공격하고자하는 의지마져 느껴질 정도로 디스토피아에 가까운 환경입니다. 이런 무서운 자연을 우리의 주인공인 나우시카는 자연을 최대한 자극하지 않으면서 조심스럽게 탐험합니다. 그렇게 위험한 숲의 겉모습을 지나 속으로 들어가면 갈수록 태초의 모습으로 가득찬 아름답고 깨끗한 물과 산소가 가득한 자연이 있었습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숲의 내면과 무시무시한 숲의 외면을 대조시키면서 우리에게 자연의 아름다움과 환경파괴를 했을 때 어떤 결과가 생길 수 있는 지 우리에게 전하고 있습니다. 숲이 이렇게 외부의 모습을 무섭게 만들어 사람의 접근을 막은 이유가 스스로 정화하는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는게 충격적이었고 자연에게 사람의 접근이 얼마나 큰 재앙이 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사람이 자연을 오염시키고 포기했어도 자연은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활동하는 존재라는 걸 우리에게 보여줌으로서 시청자인 우리가 지구의 생태계를 정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건 지금도 늦지 않았다는 희망을 준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에서 자연과 인간이 화해하기 위해서 나우시카의 희생이 필요했는데요. 나우시카가 인간을 응징하려고 다가가는 오무에게 본인의 몸을 던저 오무 새끼를 구하면서 희생하는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주면서 자연이 아무리 스스로 정화하려고 해도 확실하게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결심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해석을 하게 되었는데요. 지금의 우리는 당장의 편안함때문에 지구의 자연을 소비하고 파괴하고 있지만 계속 우리가 불편함을 감수하지 않고 지금의 행동을 계속한다면 작품속 오무의 침략처럼 우리의 생활도 완전히 파괴된다는 의미와 함께 인간이 희생해야만 자연이 회복될 수 있다는 경고도 준다고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우리는 코로나를 겪으면서 많은 공장들이 제때 근무하지 못해 금전적인 손실은 물론 인명 피해를 많이 입었습니다. 그러나 그 시기 반대로 자연은 잠깐동안이지만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렇게 우리가 실제로 느꼈듯 어느 순간 지구의 상처가 우리가 단순히 불편함을 겪는 걸 넘어서 생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걸 알 수 있었고 이런 깨달음이 바로 "바람계곡의 나우시카"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아니었을까 생각해보았습니다.

 

영화의 줄거리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영화의 줄거리는 황폐해진 지구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인간의 무분별한 발전과 전쟁으로 인해 망가진 자연에서 어느날 부해가 탄생합니다. 부해는 거대한 곰팡이로 가득찬 숲인데, 곰팡이를 만들어 내는 식물들은 유독가스를 뿜어내어 사람이 호흡할 수 없는 환경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그런 부해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고 있는데 사납고 시끄럽고 인간에게 다 적대적인 그런 동물들이었습니다. 특히 부해에 사는 어마어마한 곤충이 있는데 몸통이 사람의 거주지는 한번에 무너뜨릴 수 있을만큼 큰 개체였습니다. 이 오무는 주로 집단 생활을 하는데 인간에게 보복하러 올때 자신의 목숨을 희생하여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을만한 공동체를 이루는 곤충입니다. 이렇게 무시무시해진 자연으로 부터 벗어나기 위해 사람들은 본래의 발전된 도시에서 벗어나 부해의 독가스를 막아줄 수 있는 험난한 산맥에 작게 왕국정도의 도시를 만들고 살아가기 시작합니다. 예전의 제국형태까지 발전했던 세계는 작은 부족 혹은 왕족의 규모로 떨어지게 된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작은 왕족을 중심으로 살아가고 있는 바람계곡에는 나우시카가 공주로서 아픈 아버지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그녀는 왕녀이지만 아픈 왕인 아버지를 대신하여 직접 현장에 나가 사람들을 도와줄만큼 적극적이고 헌신적인 소녀입니다. 그녀의 왕가에는 예전부터 내려오는 전설이 있었습니다. 자연과 인간을 화해하기 위해 한 사람이 나타날거라는 예언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예언은 오래되고 계속 부해는 커지며 사람들은 이 예언을 점점 그냥 이야기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이렇게 작은 바람계곡에서 살아가던 나우시카는 부해에 조심스럽게 드나들며 부해의 생태계에 대해서 공부하고 부해의 곤충들을 어떻게 상처입히지 않고 다룰 수 있는지, 부해의 생태계에 적응하는 방법과 부해가 왜 존재하는지에 대해서까지 알아낸 호기심 많고 똑똑한 공주였습니다. 이렇게 부해와 같이 공존하려는 바람계곡과는 달리 군사대국인 트로메키아가 옛날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무리하게 움직이다가 바람계곡에 비행기가 불시착하고 맙니다. 그 비행기에는 트로메키아가 부해를 없애고 제국을 통일하기 위해 이전 전쟁에서 모든 생명을 없애는데 사용했던 거신병의 심장이 들어있었습니다.  트로메키아는 작은 나라인 바람계곡을 점령하고 그 곳에서 거신병을 다시 되살리려고 합니다. 이 거신병의 심장은 사실 도시국가 페지테의 지하에서 발견된 것인데, 트로메키아가 이걸 빼았아 온 것 이었습니다. 거신병의 심장과 함께 인질로 잡혀온 페지테의 왕자는 트로메키아에게 복수하겠다는 일념하나로 바람계곡이 얼마나 파괴될지는 생각하지 않고 자신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오무를 화나게 합니다. 화가 난 오무들은 페지테의 왕자의 유인대로 죄 없는 바람계곡으로 향하게 되고 그 모습을 본 나우시카가 홀로 오무가 화가난 이유인 빼앗긴 어린 오무를 되찾아 돌진하고 있는 오무에게 어린오무와 함께 자신의 몸을 던집니다. 그 희생에 오무는 다시 진정되고 다친 나우시카를 오무가 신비한 능력으로 치유해줌으로서 다시 바람계곡은 평화를 되찾고 트로메키아도 물러나게 됩니다.

생태주의

바람계곡의 나우키사에는 생태주의가 짙게 깔려있습니다. 생태주의는 환경 문제가 단순히 기술 발전 때문에 일어난 것이 아니고 우리 사회에서 가지고 있는 인식 때문이다라는 것으로, 사람의 미래를 위해 환경을 해결하는 방향이 아니라 환경 자체를 개선하기 위해 환경 문제에 대해 접근해야 한다는 보다 더 환경 중심적인 개념입니다. 이런 생태주의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의 여러 장면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인공인 나우시카는 위험한 숲인 부해에 대해서 무작정 나쁘게 생각하고 사람을 위해 없애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부해의 위험성을 알고 부해를 연구하며 부해가 왜 존재하는 지 알아낸 후 부해와 함께 인간이 살아가는 방법을 찾고자 여러 방법을 생각해낸 인물입니다. 그러나 트로메키아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부해를 사람이 잘 살기 위해서 없애야 하는 것으로만 생각하고 부해를 태워버릴려다가 다시 세상을 망가뜨리는 거신병을 부활시킬뻔 하는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이렇듯 사람의 영달을 중심으로 자연의 문제를 해결하는 건 옳지 않고 자연의 문제의 이유를 파악하고 그 자연과 함께 더붙어 살아갈 방법을 찾는 것이 옳다는 메시지를 줍니다.